체험활동사진

체험활동사진 목록

'2024 길위의 인문학 엣터민속박물관 한국 도자미술의 기행 개최 상황(총괄)

페이지 정보

옛터민속박물관 24-09-11 10:31 99회 0건

본문

'2024 길위의 인문학 옛터민속박물관 한국 도자미술의 기행 강좌를 2024년 7월 5일부터 동 9월 6일까지 실시하고, 

개최기간 동안 다양한 강좌의 모습과 활동상황을 담았습니다.



 

일 시

강사명

소 속

강 의 주 제

1

2024. 7. 5.

(14:00~17:00)

이한상

대전대학교

(역사문화학과 교수)

삼국시대 도자문화에 대하여

2

2024. 7. 12.

(14:00~17:00)

박동춘

)동아시아차문화

연구소 이사장

한국 차(문화와 차그릇 쓰임에 대하여

3

2024. 7. 19.

(14:00~17:00)

이종민

충북대학교 교수

고려도자의 이해

4

2024. 7. 26.

(14:00~17:00)

이귀영

)백제세계유산

센터장

수중발굴로 보는 도자기와 문화의 교류

5

2024. 8. 2.

(14:00~17:00)

임순정

백제문화원 부원장

국립태안박물관, 태안선 발굴

유적지 등 현지 문화유적 답사

6

2024. 8 9.

(14:00~17:00)

박경자

문화재청 문화재유물감정위원

계룡산 철화분청사기에 대하여

7

2024. 8. 16.

(14:00~17:00)

송영은

대전시립박물관

학예연구사 

중국도자한국도자의 원류를

찾아서

8

2024. 8. 23.

(14:00~17:00)

장기훈

)한국도자재단

뮤지엄본부장

조선백자가 우리에게 주는 의미에 대하여

9

2024. 8. 30.

(13:00~18:00)

옛터민속박물관

계룡산 도자공방 체험

10

2024. 9. 6.

(13:00~16:00)

윤 환

)대전시립박물관장

대전지방의 도자생산과 유통에 대하여

11

2024. 9. 6.

(16:00~18:00)

옛터민속박물관

(후속모임)




fb6f9c4eebbc1a02691fcf16a401f3fc_1726017535_2002.jpg

[그림]1 제1강 삼국시대 도자문화에 대하여(이한상 대전대학교 역사문화학과 교수)


fb6f9c4eebbc1a02691fcf16a401f3fc_1726017620_7662.jpg

[그림]2 제1강 삼국시대 도자문화에 대하여 강의하는 이한상교수


fb6f9c4eebbc1a02691fcf16a401f3fc_1726017719_2058.jpg

[그림]3 제2강 한국 차문화와 찻그릇의 쓰임새 강의 전경(동아시아차문화연구소 박동춘 이사장)


fb6f9c4eebbc1a02691fcf16a401f3fc_1726017729_7727.jpg

[그림]4 제2강 한국 차문화와 찻그릇의 쓰임새를 강의하는 박동춘 이사장 


fb6f9c4eebbc1a02691fcf16a401f3fc_1726017776_7327.jpg

[그림]5 제3강 고려도자의 이해 강의 전경 (충북대학교 고고미술사학과 이종민 교수) 


fb6f9c4eebbc1a02691fcf16a401f3fc_1726017793_7096.jpg

[그림]6 제3강 고려도자의 이해에 대하여 강의하는 이종민 교수 


fb6f9c4eebbc1a02691fcf16a401f3fc_1726017833_0606.jpg[그림]7 제4강 수중유물로 보는 도자기와 문화의 교류(백제세계유산센터 이귀영 센터)


fb6f9c4eebbc1a02691fcf16a401f3fc_1726017875_0978.jpg[그림]8 제4강 수중유물로 보는 도자기와 문화의 교류에 대하여 강의하는 이귀영 센터장


fb6f9c4eebbc1a02691fcf16a401f3fc_1726017924_2076.jpg

[그림]9 강의 중간 휴게시간을 이용해 담소를 나누는 수강생들


fb6f9c4eebbc1a02691fcf16a401f3fc_1726017988_8103.jpg

[그림]10 제6강 계룡산의 철화분청사기에 대하여 강의 전경(국가유산청 박경자위원)


fb6f9c4eebbc1a02691fcf16a401f3fc_1726018019_3774.jpg[그림]11 제6강 계룡산의 철화분청사기에 대하여 강의하는 박경자위원


d1abd470565ab4a0a7d8739575f0f5e7_1726041237_0791.jpg[그림]12 제7강 중국도자, 한국도자의 원류를 찾아서 강의 전경(대전시립박물관 송영은선생님)


fb6f9c4eebbc1a02691fcf16a401f3fc_1726018079_8145.jpg[그림]13 제7강 중국도자, 한국도자의 원류를 찾아서를 강의 하는 송영은선생님


fb6f9c4eebbc1a02691fcf16a401f3fc_1726018120_2586.jpg[그림]14 한국 도자미술의 기행 강좌를 경청하는 수강생


fb6f9c4eebbc1a02691fcf16a401f3fc_1726018167_6069.jpg[그림]15 한국 도자미술의 기행 강좌 중간 휴게시간에


fb6f9c4eebbc1a02691fcf16a401f3fc_1726018206_4269.jpg[그림]16 제8강 조선백자가 우리에게 주는 의미에 대하여 강의 전경(한국도자재단 장기훈 뮤지엄본부장)


fb6f9c4eebbc1a02691fcf16a401f3fc_1726018219_4939.jpg[그림]17 제8강 조선백자가 우리에게 주는 의미에 대하여 강의하는 장기훈선생님


fb6f9c4eebbc1a02691fcf16a401f3fc_1726018244_5182.jpg

[그림]18 제10강 대전지방의 도자생산과 유통에 대하여 강의 전경(윤  환 前 대전시립박물관장)


fb6f9c4eebbc1a02691fcf16a401f3fc_1726018276_7289.jpg[그림]19 제10강 대전지방의 도자생산과 유통에 대하여 강의하는 윤 환 선생님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