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험활동사진 목록
'2024 길위의 인문학 엣터민속박물관 한국 도자미술의 기행 개최 상황(총괄)
페이지 정보
옛터민속박물관 24-09-11 10:31 99회 0건관련링크
본문
'2024 길위의 인문학 옛터민속박물관 한국 도자미술의 기행 강좌를 2024년 7월 5일부터 동 9월 6일까지 실시하고,
개최기간 동안 다양한 강좌의 모습과 활동상황을 담았습니다.
| 일 시 | 강사명 | 소 속 | 강 의 주 제 |
1 | 2024. 7. 5. (14:00~17:00) | 이한상 | 대전대학교 (역사문화학과 교수) | 삼국시대 도자문화에 대하여 |
2 | 2024. 7. 12. (14:00~17:00) | 박동춘 | 사)동아시아차문화 연구소 이사장 | 한국 차(茶) 문화와 차그릇 쓰임에 대하여 |
3 | 2024. 7. 19. (14:00~17:00) | 이종민 | 충북대학교 교수 | 고려도자의 이해 |
4 | 2024. 7. 26. (14:00~17:00) | 이귀영 | 사)백제세계유산 센터장 | 수중발굴로 보는 도자기와 문화의 교류 |
5 | 2024. 8. 2. (14:00~17:00) | 임순정 | 백제문화원 부원장 | 국립태안박물관, 태안선 발굴 유적지 등 현지 문화유적 답사 |
6 | 2024. 8 9. (14:00~17:00) | 박경자 | 문화재청 문화재유물감정위원 | 계룡산 철화분청사기에 대하여 |
7 | 2024. 8. 16. (14:00~17:00) | 송영은 | 대전시립박물관 학예연구사 | 중국도자, 한국도자의 원류를 찾아서 |
8 | 2024. 8. 23. (14:00~17:00) | 장기훈 | 재)한국도자재단 뮤지엄본부장 | 조선백자가 우리에게 주는 의미에 대하여 |
9 | 2024. 8. 30. (13:00~18:00) | 옛터민속박물관 | 계룡산 도자공방 체험 | |
10 | 2024. 9. 6. (13:00~16:00) | 윤 환 | 전)대전시립박물관장 | 대전지방의 도자생산과 유통에 대하여 |
11 | 2024. 9. 6. (16:00~18:00) | 옛터민속박물관 | (후속모임) |
[그림]1 제1강 삼국시대 도자문화에 대하여(이한상 대전대학교 역사문화학과 교수)
[그림]2 제1강 삼국시대 도자문화에 대하여 강의하는 이한상교수
[그림]3 제2강 한국 차문화와 찻그릇의 쓰임새 강의 전경(동아시아차문화연구소 박동춘 이사장)
[그림]4 제2강 한국 차문화와 찻그릇의 쓰임새를 강의하는 박동춘 이사장
[그림]5 제3강 고려도자의 이해 강의 전경 (충북대학교 고고미술사학과 이종민 교수)
[그림]6 제3강 고려도자의 이해에 대하여 강의하는 이종민 교수
[그림]7 제4강 수중유물로 보는 도자기와 문화의 교류(백제세계유산센터 이귀영 센터장)
[그림]8 제4강 수중유물로 보는 도자기와 문화의 교류에 대하여 강의하는 이귀영 센터장
[그림]9 강의 중간 휴게시간을 이용해 담소를 나누는 수강생들
[그림]10 제6강 계룡산의 철화분청사기에 대하여 강의 전경(국가유산청 박경자위원)
[그림]11 제6강 계룡산의 철화분청사기에 대하여 강의하는 박경자위원
[그림]12 제7강 중국도자, 한국도자의 원류를 찾아서 강의 전경(대전시립박물관 송영은선생님)
[그림]13 제7강 중국도자, 한국도자의 원류를 찾아서를 강의 하는 송영은선생님
[그림]14 한국 도자미술의 기행 강좌를 경청하는 수강생
[그림]15 한국 도자미술의 기행 강좌 중간 휴게시간에
[그림]16 제8강 조선백자가 우리에게 주는 의미에 대하여 강의 전경(한국도자재단 장기훈 뮤지엄본부장)
[그림]17 제8강 조선백자가 우리에게 주는 의미에 대하여 강의하는 장기훈선생님
[그림]18 제10강 대전지방의 도자생산과 유통에 대하여 강의 전경(윤 환 前 대전시립박물관장)
[그림]19 제10강 대전지방의 도자생산과 유통에 대하여 강의하는 윤 환 선생님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