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기

토기 청자 분청사기 백자
장신구 노리개 장도 고가구

본문

위・아래 삭제 복제 복제전송 텍스트기본스타일
    • 선색
    • 실선
    • 점선
    • all
    • top
    • right
    • bottom
    • left
    • 0px
    • 1px
    • 2px
    • 3px
    • 4px
    • 5px
    • all
    • top
    • right
    • bottom
    • left
    • 0px
    • 5px
    • 10px
    • 15px
    • 20px
    • 25px
    • 30px
    • 35px
    • 40px
    • all
    • top
    • bottom
    • 0px
    • 5px
    • 10px
    • 15px
    • 20px
    • 25px
    • 30px
    • 35px
    • 40px
    • 4px
    • 8px
    • 10px
    • 12px
    • 16px
    • 20px
    • 30px
    • 1.3em
    • 1.5em
    • 2em
    • 2.2em
    • 2.5em
    • 3em
YETTEO FOLK MUSEUM
토기
 
Relics
       
위・아래 삭제 복제 복제전송 텍스트기본스타일
수정 링크걸기 링크해제
  • 행수 :
    열수 :
    타입 :
    • 선색
    • 실선
    • 점선
    • all
    • top
    • right
    • bottom
    • left
    • 0px
    • 1px
    • 2px
    • 3px
    • 4px
    • 5px
    • all
    • top
    • right
    • bottom
    • left
    • 0px
    • 5px
    • 10px
    • 15px
    • 20px
    • 25px
    • 30px
    • 35px
    • 40px
    • all
    • top
    • bottom
    • 0px
    • 5px
    • 10px
    • 15px
    • 20px
    • 25px
    • 30px
    • 35px
    • 40px
    • 4px
    • 8px
    • 10px
    • 12px
    • 16px
    • 20px
    • 30px
    • 1.3em
    • 1.5em
    • 2em
    • 2.2em
    • 2.5em
    • 3em
토기는 질그릇인 도기를 일컫는다. 자기에 비하여 그 가치를 인정받지 못하고 있는 토기는 우리도자기의 원류로서 자못 의의가 대단하다고 할 수 있다.

토기는 흙으로 만들 수 있는 모든 종류의 그릇을 말한다. 주로 진흙을 600~800℃로 번조하여 신석기시대부터 통일신라시대까지 제작된 용기류를토기로 명명한다. 조선시대에는 찰흙을 태토(胎土)로 오짓물을입혀 1,100~1,200℃로 소성한 경질도기(硬質陶器)의 형태를 나타내는 옹기 또는 오지그릇이 나온다.

신석기시대에는 덧무늬토기와빗살무늬토기, 청동기시대는 민무늬토기, 원삼국시대는흑회색토기, 삼국시대는 경질토기로 발전을 거듭하며 고려와 조선시대의 도기와 옹기로 이어진다. 여기에서는 편의상 삼국시대까지를 토기의 개념으로 명명하며 시대적 흐름을 정리한다.
       
위・아래 삭제 복제 복제전송 텍스트기본스타일
  • 행수 :
    열수 :
    타입 :
    • 선색
    • 실선
    • 점선
    • all
    • top
    • right
    • bottom
    • left
    • 0px
    • 1px
    • 2px
    • 3px
    • 4px
    • 5px
    • all
    • top
    • right
    • bottom
    • left
    • 0px
    • 5px
    • 10px
    • 15px
    • 20px
    • 25px
    • 30px
    • 35px
    • 40px
    • all
    • top
    • bottom
    • 0px
    • 5px
    • 10px
    • 15px
    • 20px
    • 25px
    • 30px
    • 35px
    • 40px
    • 4px
    • 8px
    • 10px
    • 12px
    • 16px
    • 20px
    • 30px
    • 1.3em
    • 1.5em
    • 2em
    • 2.2em
    • 2.5em
    • 3em
  신석기시대YETTEO FOLK MUSEUM
       
위・아래 삭제 복제 복제전송 텍스트기본스타일
  • 행수 :
    열수 :
    타입 :
    • 선색
    • 실선
    • 점선
    • all
    • top
    • right
    • bottom
    • left
    • 0px
    • 1px
    • 2px
    • 3px
    • 4px
    • 5px
    • all
    • top
    • right
    • bottom
    • left
    • 0px
    • 5px
    • 10px
    • 15px
    • 20px
    • 25px
    • 30px
    • 35px
    • 40px
    • all
    • top
    • bottom
    • 0px
    • 5px
    • 10px
    • 15px
    • 20px
    • 25px
    • 30px
    • 35px
    • 40px
    • 4px
    • 8px
    • 10px
    • 12px
    • 16px
    • 20px
    • 30px
    • 1.3em
    • 1.5em
    • 2em
    • 2.2em
    • 2.5em
    • 3em
신석기시대에는빗살무늬토기(櫛文土器)를 기본으로 간혹 덧무늬토기(隆起紋土器)가 존재한다.
빗살무늬토기는 진흙을 600~800℃로 소성하였으며 적갈색을 띤다. 기원전 5,000년경 빗살무늬는 물고기 뼈가 배열된 듯 한 종주어골문(縱走魚骨紋)과
횡주어골문(橫走魚骨紋)으로 단순하면서도 규칙적인 모습을 갖추고 있다. 회전대칭으로 전체적인 비례와 균형이 자연스럽게 잡혀있다.
점차 토기의 형태가 다양해지면서 우점문(雨點紋), 기하문(幾何紋) 같은 점과 선이 배합된 토기로 발전한다. 이후 타래문, 물결문, 연속문(連續紋), 손톱문(爪紋) 등의 곡선이 등장하여 점, 선을 대신한다.

토기의 문양이 변화하는 것은 선조들이 자연을 관찰하고 표현하는 과정에서 감정의 이입을 통해 경외감을 예술로서 발전시켰기 때문이다. 사물에 대한 심미안(審美眼)은 무늬 구상력으로 나타났다.

토기의 성형기법은 수날법(手捏法)과 권상법(捲上法)이 있다. 수날법은태토를손으로 이겨서 덩어리를 우묵하게 하여 그릇의 문양을 내는 것으로, 정형화된 그릇의 형태를 만들 수 없으므로 작은 그릇을 만든다. 권상법은신석기시대 주로 사용한 방법이다. 태토로일정한 길이의 흙가래를만든 다음 밑에서부터 나선형으로 돌아가며 쌓고 접촉부분을 밀착시켜 만드는 것으로 큰 그릇을 만들 때 쓰인다.

덧무늬토기는겉면에 진흙 띠를 붙이거나 겉면을 가늘게 돋게 하여 주둥이와 몸통부분에 무늬를 나타낸 것이다. 남해안지방의 양양 오산리는빗살무늬토기 보다 이른 시기에 생겨났고 동북지방과 중서부지방은 신석기시대 후기에 발생한다.
       
위・아래 삭제 복제 복제전송 텍스트기본스타일
  • 행수 :
    열수 :
    타입 :
    • 선색
    • 실선
    • 점선
    • all
    • top
    • right
    • bottom
    • left
    • 0px
    • 1px
    • 2px
    • 3px
    • 4px
    • 5px
    • all
    • top
    • right
    • bottom
    • left
    • 0px
    • 5px
    • 10px
    • 15px
    • 20px
    • 25px
    • 30px
    • 35px
    • 40px
    • all
    • top
    • bottom
    • 0px
    • 5px
    • 10px
    • 15px
    • 20px
    • 25px
    • 30px
    • 35px
    • 40px
    • 4px
    • 8px
    • 10px
    • 12px
    • 16px
    • 20px
    • 30px
    • 1.3em
    • 1.5em
    • 2em
    • 2.2em
    • 2.5em
    • 3em
  청동기시대YETTEO FOLK MUSEUM
       
위・아래 삭제 복제 복제전송 텍스트기본스타일
  • 행수 :
    열수 :
    타입 :
    • 선색
    • 실선
    • 점선
    • all
    • top
    • right
    • bottom
    • left
    • 0px
    • 1px
    • 2px
    • 3px
    • 4px
    • 5px
    • all
    • top
    • right
    • bottom
    • left
    • 0px
    • 5px
    • 10px
    • 15px
    • 20px
    • 25px
    • 30px
    • 35px
    • 40px
    • all
    • top
    • bottom
    • 0px
    • 5px
    • 10px
    • 15px
    • 20px
    • 25px
    • 30px
    • 35px
    • 40px
    • 4px
    • 8px
    • 10px
    • 12px
    • 16px
    • 20px
    • 30px
    • 1.3em
    • 1.5em
    • 2em
    • 2.2em
    • 2.5em
    • 3em
기원전2,000년경 청동기시대에는 빗살무늬토기 대신 민무늬토기가 들어선다. 손이 많이 가고 복잡한 빗살무늬토기를 간략화하여 실생활에 적극적으로 사용하려는 의도로 민무늬토기가 탄생한 것이다. 민무늬토기는 수비를 거치지 않고 찰흙 태토를700~900℃로 소성하여 그릇표면에 무늬를 넣지 않은 것이다. 기종은 원저호(圓低壺), 고배(高杯), 장경호(長頸壺), 단경호(短頸壺) 등이며 연질토기(軟質土器)로 제작되었다.

지역적으로 서북지방은 팽이형토기, 동북지방은 공열문토기(孔列紋土器), 흑도(黑陶), 홍도(紅陶) 등이 분포한다.

팽이형토기는동부(胴部)가 부푼 팽이모양으로 2~3줄의 짧은 사선(斜線)이 그어진 2겹의 주둥이로 되어있다. 공열문토기는구순(口脣) 아래 구멍무늬를 일정하게 배치한 것으로 심발형토기(深鉢形土器)로도 불린다. 홍도는 태토성형 후 산화철을바르고 갈아 소성하여 적색을 나타낸 것이다. 흑도는표면에 흑연, 망간 등을 바르고 갈아 흑색을 띠는 토기이다.
       
위・아래 삭제 복제 복제전송 텍스트기본스타일
  • 행수 :
    열수 :
    타입 :
    • 선색
    • 실선
    • 점선
    • all
    • top
    • right
    • bottom
    • left
    • 0px
    • 1px
    • 2px
    • 3px
    • 4px
    • 5px
    • all
    • top
    • right
    • bottom
    • left
    • 0px
    • 5px
    • 10px
    • 15px
    • 20px
    • 25px
    • 30px
    • 35px
    • 40px
    • all
    • top
    • bottom
    • 0px
    • 5px
    • 10px
    • 15px
    • 20px
    • 25px
    • 30px
    • 35px
    • 40px
    • 4px
    • 8px
    • 10px
    • 12px
    • 16px
    • 20px
    • 30px
    • 1.3em
    • 1.5em
    • 2em
    • 2.2em
    • 2.5em
    • 3em
  원삼국시대YETTEO FOLK MUSEUM
       
위・아래 삭제 복제 복제전송 텍스트기본스타일
  • 행수 :
    열수 :
    타입 :
    • 선색
    • 실선
    • 점선
    • all
    • top
    • right
    • bottom
    • left
    • 0px
    • 1px
    • 2px
    • 3px
    • 4px
    • 5px
    • all
    • top
    • right
    • bottom
    • left
    • 0px
    • 5px
    • 10px
    • 15px
    • 20px
    • 25px
    • 30px
    • 35px
    • 40px
    • all
    • top
    • bottom
    • 0px
    • 5px
    • 10px
    • 15px
    • 20px
    • 25px
    • 30px
    • 35px
    • 40px
    • 4px
    • 8px
    • 10px
    • 12px
    • 16px
    • 20px
    • 30px
    • 1.3em
    • 1.5em
    • 2em
    • 2.2em
    • 2.5em
    • 3em
철기의사용으로문화발달을이루면서실용적인면이부각되고고온번조가유행하게 되었다. 이 시기 소지제조법, 성형기법, 소성법등이 발견되면서 종래의 민무늬토기가 사라지고 흑회색토기가 등장하여 김해를 중심으로 낙동강유역, 한강유역까지 이어져 삼한지역에 고루 분포한다. 이러한 토기혁명은 근본적으로 가마의 발전으로 말미암은 것이다.

선사시대 지면에 비교적 낮은 구덩이를 이용하여 소성하던 노천요(露天窯)는 열을 모으는 구조인 굴가마(登窯)로 이어진다. 우리나라는 기원전 2세기 이전 굴가마를이용한 산화염 소성으로 적갈색 토기가 주류를 이루다가 환원염 소성으로 바뀌면서 흑회색의경질토기(硬質土器)를 제작할 수 있게 되었다. 흑회색토기는초기철기시대부터 원삼국시대까지문화·경제혁명에 중요한 기반으로 자리를 잡는다.

흑회색토기는평저발(平底鉢)과 원저호(圓低壺)로 대표되며 문양은 승문(繩紋)과 승석문(繩蓆紋) 등의 타날문(打捺紋)이 주류를 이룬다.
       
위・아래 삭제 복제 복제전송 텍스트기본스타일
  • 행수 :
    열수 :
    타입 :
    • 선색
    • 실선
    • 점선
    • all
    • top
    • right
    • bottom
    • left
    • 0px
    • 1px
    • 2px
    • 3px
    • 4px
    • 5px
    • all
    • top
    • right
    • bottom
    • left
    • 0px
    • 5px
    • 10px
    • 15px
    • 20px
    • 25px
    • 30px
    • 35px
    • 40px
    • all
    • top
    • bottom
    • 0px
    • 5px
    • 10px
    • 15px
    • 20px
    • 25px
    • 30px
    • 35px
    • 40px
    • 4px
    • 8px
    • 10px
    • 12px
    • 16px
    • 20px
    • 30px
    • 1.3em
    • 1.5em
    • 2em
    • 2.2em
    • 2.5em
    • 3em
  삼국시대YETTEO FOLK MUSEUM
       
위・아래 삭제 복제 복제전송 텍스트기본스타일
  • 행수 :
    열수 :
    타입 :
    • 선색
    • 실선
    • 점선
    • all
    • top
    • right
    • bottom
    • left
    • 0px
    • 1px
    • 2px
    • 3px
    • 4px
    • 5px
    • all
    • top
    • right
    • bottom
    • left
    • 0px
    • 5px
    • 10px
    • 15px
    • 20px
    • 25px
    • 30px
    • 35px
    • 40px
    • all
    • top
    • bottom
    • 0px
    • 5px
    • 10px
    • 15px
    • 20px
    • 25px
    • 30px
    • 35px
    • 40px
    • 4px
    • 8px
    • 10px
    • 12px
    • 16px
    • 20px
    • 30px
    • 1.3em
    • 1.5em
    • 2em
    • 2.2em
    • 2.5em
    • 3em
고구려
고구려토기는연질토기로평저발(平底鉢), 양이호(兩耳壺), 단지 등이 대부분이다. 초기 3세기이전에는 회흑색의단지, 항아리, 잔이 사용되었으며 중기 4~5세기에는 회색, 황갈색의 줄무늬토기, 6세기 이후에는 더욱 다양해져 생활용구인 벼루, 베게, 거울 등이 사용되었다. 사실 고구려 토기유물이 소량인 관계로 아직도 자세한 연구가 필요하다.

백제
백제토기는흑회색민무늬경질토기 제작방법을 바탕으로 승석문과같은 양식으로 사선문(斜線紋), 거치문(鋸齒紋) 등의 문양을 보이고 있다. 기형은 소형원저호(小形圓低壺), 개합(蓋盒), 삼족도정(三足陶鼎) 등이 있다. 또한 불교의 전파로 화장용(火葬用) 골호(骨壺)와 다양한 기대(器臺)를 의식용으로 사용하였다.

신라
신라초기토기의기형은고배(高杯)나 장경호(長頸壺), 나팔형기대 등으로 나타나고 있다. 중기 500년경에는 여성화, 장식화 되는 경향을 보인다. 고배는 다리가 짧아지고, 위가 좁고 기부(器部)가 크게 벌어지는 원추형으로 소형화되었고 장경호는 턱이 진 광구(廣口)의 형태로 변화한다. 특히 정교하고 특이한 기마형토기가 등장한다.

후기 600년경에는 인화문토기(印花紋土器)가 출현한다. 대부(臺附)는 정삼각형 또는 원추형의 다리에 작은 구멍이 2단으로 3개 이상이 배치된다. 뚜껑이 몹시 낮고 안으로 크게 기울어진 완형토기(盌形土器)와 고배에 굽처럼 생긴 꼭지 뚜껑도 만들어진다.

신라토기의 가장 큰 특징은 상형토기(象形土器)와 토우의 발달이다. 상형토기는 인물형(人物形), 배형(舟形), 동물형(動物形)으로 만들어졌다. 토우는 도제인형으로 농경사회를 반영하는 집과 수레바퀴 모양을 대량 제작하여 부장품으로 사용하였다.

가야
가야는신라토기와비슷한회청색경질토기, 적갈색 연질토기로 날렵하고 세련된 상형토기와 이형토기(異形土器)를 만들었다. 상형토기는 신라와 다른 집, 신발, 배, 수레, 등잔 등의 모양을 나타내며 이형토기는 반드시 속이 비고 그릇중심에 잔형(杯形)의 구멍이 뚫려있다.

대부(臺附)는 구멍의 아래 위가 어긋나게 배치된 신라와 달리 구멍이 수직선상으로 되어 있다. 
       
위・아래 삭제 복제 복제전송
  • 행수 :
    열수 :
    타입 :
    • 선색
    • 실선
    • 점선
    • all
    • top
    • right
    • bottom
    • left
    • 0px
    • 1px
    • 2px
    • 3px
    • 4px
    • 5px
    • all
    • top
    • right
    • bottom
    • left
    • 0px
    • 5px
    • 10px
    • 15px
    • 20px
    • 25px
    • 30px
    • 35px
    • 40px
    • all
    • top
    • bottom
    • 0px
    • 5px
    • 10px
    • 15px
    • 20px
    • 25px
    • 30px
    • 35px
    • 40px
    • 4px
    • 8px
    • 10px
    • 12px
    • 16px
    • 20px
    • 30px
    • 1.3em
    • 1.5em
    • 2em
    • 2.2em
    • 2.5em
    • 3em

       
위・아래 삭제 복제 복제전송
수정 링크걸기 링크해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