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가구

토기 청자 분청사기 백자
장신구 노리개 장도 고가구

본문

위・아래 삭제 복제 복제전송 텍스트기본스타일
    • 선색
    • 실선
    • 점선
    • all
    • top
    • right
    • bottom
    • left
    • 0px
    • 1px
    • 2px
    • 3px
    • 4px
    • 5px
    • all
    • top
    • right
    • bottom
    • left
    • 0px
    • 5px
    • 10px
    • 15px
    • 20px
    • 25px
    • 30px
    • 35px
    • 40px
    • all
    • top
    • bottom
    • 0px
    • 5px
    • 10px
    • 15px
    • 20px
    • 25px
    • 30px
    • 35px
    • 40px
    • 4px
    • 8px
    • 10px
    • 12px
    • 16px
    • 20px
    • 30px
    • 1.3em
    • 1.5em
    • 2em
    • 2.2em
    • 2.5em
    • 3em
YETTEO FOLK MUSEUM
고가구
 
Relics
       
위・아래 삭제 복제 복제전송 텍스트기본스타일
수정 링크걸기 링크해제
  • 행수 :
    열수 :
    타입 :
    • 선색
    • 실선
    • 점선
    • all
    • top
    • right
    • bottom
    • left
    • 0px
    • 1px
    • 2px
    • 3px
    • 4px
    • 5px
    • all
    • top
    • right
    • bottom
    • left
    • 0px
    • 5px
    • 10px
    • 15px
    • 20px
    • 25px
    • 30px
    • 35px
    • 40px
    • all
    • top
    • bottom
    • 0px
    • 5px
    • 10px
    • 15px
    • 20px
    • 25px
    • 30px
    • 35px
    • 40px
    • 4px
    • 8px
    • 10px
    • 12px
    • 16px
    • 20px
    • 30px
    • 1.3em
    • 1.5em
    • 2em
    • 2.2em
    • 2.5em
    • 3em
  특징YETTEO FOLK MUSEUM
조선시대에는평좌(平坐)생활에 알맞은 높이와 규격, 면분할을통한 장방형의 과학적이고 합리적인 가옥을 지었고, 실내에서의 효율적인 공간활용을 위하여 낮고 간결한 가구를 제작하였다. 조선시대 가구는 중기까지만 하더라도 중국 명나라와 고려 고격(古格)의 영향을 받았으나, 후기에는 고유의 양식을 정착시켰다.

조선시대 사찰, 궁중, 향교 등지에서 사용하는 가구를 제외하고 일반 가정에서 사용하는 장, 농, 사방탁자, 책장 등은 170cm정도이고, 단층장은80cm정도이며, 문갑은 40cm정도이다. 이는 좁고 낮은 방문을 쉽게 통과하기 위하여 높이를 낮추고 길이와 너비를 좁게 한 결과이다.
       
위・아래 삭제 복제 복제전송 텍스트기본스타일
  • 행수 :
    열수 :
    타입 :
    • 선색
    • 실선
    • 점선
    • all
    • top
    • right
    • bottom
    • left
    • 0px
    • 1px
    • 2px
    • 3px
    • 4px
    • 5px
    • all
    • top
    • right
    • bottom
    • left
    • 0px
    • 5px
    • 10px
    • 15px
    • 20px
    • 25px
    • 30px
    • 35px
    • 40px
    • all
    • top
    • bottom
    • 0px
    • 5px
    • 10px
    • 15px
    • 20px
    • 25px
    • 30px
    • 35px
    • 40px
    • 4px
    • 8px
    • 10px
    • 12px
    • 16px
    • 20px
    • 30px
    • 1.3em
    • 1.5em
    • 2em
    • 2.2em
    • 2.5em
    • 3em
  재료YETTEO FOLK MUSEUM
       
위・아래 삭제 복제 복제전송 텍스트기본스타일
  • 행수 :
    열수 :
    타입 :
    • 선색
    • 실선
    • 점선
    • all
    • top
    • right
    • bottom
    • left
    • 0px
    • 1px
    • 2px
    • 3px
    • 4px
    • 5px
    • all
    • top
    • right
    • bottom
    • left
    • 0px
    • 5px
    • 10px
    • 15px
    • 20px
    • 25px
    • 30px
    • 35px
    • 40px
    • all
    • top
    • bottom
    • 0px
    • 5px
    • 10px
    • 15px
    • 20px
    • 25px
    • 30px
    • 35px
    • 40px
    • 4px
    • 8px
    • 10px
    • 12px
    • 16px
    • 20px
    • 30px
    • 1.3em
    • 1.5em
    • 2em
    • 2.2em
    • 2.5em
    • 3em
우리나라국토의70%는 산지로서 수목의 종류가 1,556여종에 이르고 있지만 재목으로는 109종만을 사용하고 있다.
이 중 알맞은 나무를 선별하여 재질에 따라 골재(骨材), 판재(板材), 부재(附材)로 구분하여 가구를 제작하였다. 골재는 소나무, 배나무, 가래나무, 호두나무, 은행나무 등을 사용하였고, 판재는 오동나무, 박나무, 가시나무, 피나무, 전나무, 느티나무 등을 사용하였고, 부재는 회화나무, 버드나무, 느티나무 등을 사용하였다. 나뭇결이 화려한 먹감나무, 용나무, 괴목근등을 이용하여 치장하였고, 그 외 나전, 화각, 도장 등을 이용하여 표면을 장식하였다.

나무의 수축과 팽창으로 인한 뒤틀림과 휘어짐을 대비하여 단단하고 가느다란 골재로 면을 나누고 홈을 파서 판재를 끼워 넣는 짜임의 목공기법과 대못(竹針), 부레풀(魚膠), 아교(阿膠)를 이용하여 내형의견고함과 외형의 아름다움을 이룰 수 있었다.
       
위・아래 삭제 복제 복제전송 텍스트기본스타일
  • 행수 :
    열수 :
    타입 :
    • 선색
    • 실선
    • 점선
    • all
    • top
    • right
    • bottom
    • left
    • 0px
    • 1px
    • 2px
    • 3px
    • 4px
    • 5px
    • all
    • top
    • right
    • bottom
    • left
    • 0px
    • 5px
    • 10px
    • 15px
    • 20px
    • 25px
    • 30px
    • 35px
    • 40px
    • all
    • top
    • bottom
    • 0px
    • 5px
    • 10px
    • 15px
    • 20px
    • 25px
    • 30px
    • 35px
    • 40px
    • 4px
    • 8px
    • 10px
    • 12px
    • 16px
    • 20px
    • 30px
    • 1.3em
    • 1.5em
    • 2em
    • 2.2em
    • 2.5em
    • 3em
  종류YETTEO FOLK MUSEUM
       
위・아래 삭제 복제 복제전송 텍스트기본스타일
  • 행수 :
    열수 :
    타입 :
    • 선색
    • 실선
    • 점선
    • all
    • top
    • right
    • bottom
    • left
    • 0px
    • 1px
    • 2px
    • 3px
    • 4px
    • 5px
    • all
    • top
    • right
    • bottom
    • left
    • 0px
    • 5px
    • 10px
    • 15px
    • 20px
    • 25px
    • 30px
    • 35px
    • 40px
    • all
    • top
    • bottom
    • 0px
    • 5px
    • 10px
    • 15px
    • 20px
    • 25px
    • 30px
    • 35px
    • 40px
    • 4px
    • 8px
    • 10px
    • 12px
    • 16px
    • 20px
    • 30px
    • 1.3em
    • 1.5em
    • 2em
    • 2.2em
    • 2.5em
    • 3em
조선시대는 유교사상의 영향으로 엄격한 남녀내외 구분이 있었던탓에 남성의공간인 사랑방과 여성의 공간인 안방, 부엌 등은 각각의 다른 특성에 맞는 다양한 가구를 탄생시켰다.

안방은 집안 살림을 이끌어가는 여성의 중심영역으로 외부와 단절된 환경 속에 자신만의 생활을 찾고 자녀를 기르며 손님을 맞아 담소를 나누던 곳이었다. 안방에서 사용하는 가구는 색이 곱고, 따뜻하며 화사한 것이 특징이다.
사랑방 가구보다 문양과 형태가 여성적인 성향이 강하여 음양문(陰陽紋), 화조문(花鳥紋), 장생문(長生紋) 등의 각종 길상문(吉祥紋)을 표면에 장식하였다. 안방에서는 장(欌), 농(籠), 반닫이, 좌경, 빗접, 가께수리, 반짇고리 등을 사용하였다.

조선시대 남성의 공간인 사랑방은 문방(文房)이면서 응접실로서 학문과 예술의 온상으로 가장의 권위와 지위를 상징하였다.
근검절약하는생활철학을 갖고 있는 선비의 상징인 사랑방은 선비정신을 구현하는 공간으로 가구들이 간결하면서도 담백하고 자연스러운 미를 추구하기 위하여 부드러운 소나무와 오동나무에 문양을 절제하고 간단한 사군자(四君子), 만자, 아자등의 길상문을 넣어 소탈한 선비의 품성을 표현하였다.

사랑방 가구에는 서안(書案), 경상(經床), 문갑(文匣), 사방탁자, 서가(書架), 책장, 연상(硯床), 연함(硯函), 필통, 지통(紙筒), 문서함, 약장, 의걸이장, 고비 등이 있다. 부엌은 여성의 공간으로 음식을 만들어 가족에게 건강을 선사하는 공간이고, 가신신앙의존재인 칠성신을 모시는 종교적인 공간이기도 하다. 뿐만 아니라 부엌은 여성들에게 교제의 장이며 사색의 공간이다. 부엌에서는 소반, 찬장, 뒤주, 찬탁 등의 가구를 사용하였다.

기타 가구는 안방, 사랑방, 부엌에서도 사용하는 가구이지만 대청, 광, 사당 같은 비교적 한정된 공간에서 사용한 가구를 의미한다.
궤(櫃)는 장방형의 상자로 윗널의 ⅔가량이 열리도록 하여 돈, 제기, 화살 등의 물품을 넣어두는 다목적 수납가구이다.
약장은 한약재를 담아 두는 것으로 서랍을 연속적으로 배열한 독특한 조형미를 가진 가구이다. 대형 약장은 한약방에서 사용하였고, 소형 약장은 가정에서 상비약이나 비상약을보관할 때 사용하였다. 이밖에 조상의 영정을 모셔 두는 영정함(影幀函), 여닫이문이달렸고 청사(靑絲) ·황사(黃絲) 등을 바른 창 안에 등잔이나 초를 넣어 간접조명의 아늑한 분위기를 자아내게 하는 좌등(座燈) 등이 있다. 사당에서는 제상(祭床)과 교의(交椅)를 두었고, 주고(廚庫)에는 서적, 유품, 제구 등을 보관하였다.

       
위・아래 삭제 복제 복제전송 텍스트기본스타일
  • 행수 :
    열수 :
    타입 :
    • 선색
    • 실선
    • 점선
    • all
    • top
    • right
    • bottom
    • left
    • 0px
    • 1px
    • 2px
    • 3px
    • 4px
    • 5px
    • all
    • top
    • right
    • bottom
    • left
    • 0px
    • 5px
    • 10px
    • 15px
    • 20px
    • 25px
    • 30px
    • 35px
    • 40px
    • all
    • top
    • bottom
    • 0px
    • 5px
    • 10px
    • 15px
    • 20px
    • 25px
    • 30px
    • 35px
    • 40px
    • 4px
    • 8px
    • 10px
    • 12px
    • 16px
    • 20px
    • 30px
    • 1.3em
    • 1.5em
    • 2em
    • 2.2em
    • 2.5em
    • 3em
  구성YETTEO FOLK MUSEUM
       
위・아래 삭제 복제 복제전송 텍스트기본스타일
  • 행수 :
    열수 :
    타입 :
    • 선색
    • 실선
    • 점선
    • all
    • top
    • right
    • bottom
    • left
    • 0px
    • 1px
    • 2px
    • 3px
    • 4px
    • 5px
    • all
    • top
    • right
    • bottom
    • left
    • 0px
    • 5px
    • 10px
    • 15px
    • 20px
    • 25px
    • 30px
    • 35px
    • 40px
    • all
    • top
    • bottom
    • 0px
    • 5px
    • 10px
    • 15px
    • 20px
    • 25px
    • 30px
    • 35px
    • 40px
    • 4px
    • 8px
    • 10px
    • 12px
    • 16px
    • 20px
    • 30px
    • 1.3em
    • 1.5em
    • 2em
    • 2.2em
    • 2.5em
    • 3em
조선시대가구를구성하는각종부위는천판, 개판, 널, 서랍, 쥐벽칸, 머름칸, 기둥, 쇠목, 동자, 문판, 문변자, 풍혈, 마대, 족대, 전, 운각, 중대 등이 있고, 이들을 보강하고 장식적인 효과를 얻기 위한 경첩, 귀장식, 감잡이, 들쇠, 광두정등이 있다.

먼저 가구의 부위 중 천판(天板)은 장, 농 반닫이, 빗접등의 가구 맨 위에 있는 넓은 면의 널이고, 개판(蓋板)은 장과 경상 등의 가구 천판이 옆과 앞으로 뻗어 나오도록 댄 나무판이고, 널(板)은 가구의 몸통을 구성하는 판재로 부위에 따라 안널, 측널, 뒷널, 밑널, 층널등으로 불린다.
서랍은 가구에 붙여서 끼우고 끌어내었다 밀어넣었다하며 물건을 넣어두는 상자로 설합, 혈합, 빼닫이등으로 불린다.
쥐벽칸은가구의 문판옆에 막아 댄 널이고 머름칸은문판의상하쇠목사이에 동자를 세워 구획한 작은 널이다. 기둥(柱)은 가구의 골격인 4개의 골재이고, 쇠목은장과 농의 단을 구획하는 널이다. 동자(童子)는 짧은 기둥으로 쥐벽칸이나 머름칸을등분하고 힘을 보강하기 위해 댄 기둥이다.
문판은상하, 좌우로 여닫는 문짝으로 문판이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문변자(門邊子)를 대었다. 마대(馬臺)는 다리 전체를 의미하고, 족대(足臺)는 다리 밑에 받쳐 댄 가로대이다. 풍혈(風穴)은 가구의 통풍을 위해 뚫어 놓거나 비어놓는 구멍이다.
전(변죽)은 각재나 판재의 가장자리의 도드라진 부분이다. 운각(雲刻)은 가구의 가장자리를 꾸미는 고정된 판으로 운문(雲紋), 박쥐문(蝙蝠紋) 등이 새겨져 있다. 중대(中帶)는 소반의 다리 중간에 건너대어 연결하는 보강재이고, 쇠시리는가구의 모나 면을 둥글게 깎아 만든 둥근 원이다.

금속장식은 백동 ·놋쇠 ·구리 등의 동석계(銅錫系)와 시우쇠 ·무쇠 등의 철계(鐵系)를 사용하여 경첩, 들쇠 등의 기능적인 장식과 감잡이, 귀장식등의 보강적인 장식을 제작하였다. 앞바탕은목재의 손실을 막고 장식효과를 높이기 위해 문판전면 중앙에 부착하는 얇고 판판한 쇠붙이로 자물쇠, 고리 등의 받침에 사용하며, 둥근형, 약과형, 실패형, 나비형, 초형, 부채형등의 형태가 있다.
뻗침대는자물쇠를 연결하기 위해 뻗어나온금속장식으로 앞바탕에달려 있다. 경첩은 문판을여닫게 하는 장식으로 몸통과 문판에두 개의 쇳조각을 맞물려 고정시키고 기둥쇠가돌면서 서로 움직이게 하는 것으로 단순하게 칡과 끈으로 묶었던 것이 철기시대 이후 경첩으로 발전하였다.
형태는 동그레형, 약과형, 제비초리형, 나비형, 호리병형, 만자형등이 있다. 귀장식은가구의 귀부분인판(板)과 판(板), 주(柱)와 주(柱), 주(柱)와 판(板)을 잡아주고 모서리를 보호하는 평면적인 형태로 초형, 약과형, 여의두형등이 있다.

감잡이는귀장식과마찬가지로 가구의 양면을 단단하게 감아쥐는입체적인 금속장식으로 약과형, 고추잎형, 제비초리형, 거멀형, 상두형, 망두형, 석류형, 판형 등이 있다. 들쇠는 서랍, 문판, 측면에 달린 반달형의 손잡이로 가구를 들어 올리거나 당기기 위한 금속장식이다.
초기에는 단지 가구를 들어 올리는 실용적인 의미로 사용하였으나, 점차 장식적인 손잡이로 발전하였다.
형태는 활형, 박쥐형, 새형, 나비형, 물고기형, ㄷ자형등이 있다. 고리는 서랍의 작은 손잡이나 자물쇠를 채우는 문에 들쇠 대신 화려한 환(環)모양으로 만든 것으로 둥근형, 대추형, 천도형, 반원형 등이 있다.
광두정은머리가 둥글고 넓적한 금속장식으로 흠집과 못자국을감추고 들쇠가 몸통과 닿는 것을 막아주는 구조적인 기능과 빈 공간을 채워서 입체적이고 아름답게 보이게 하는 미적인 기능을 갖고 있다.
나비형, 박쥐형, 보상화형, 약과형, 구름형, 박쥐형등의 형태를 지니고 있다.
자물쇠는 문짝과 서랍을 잠그는 보안적 기능과 장식적 기능이 있는 것으로 형태에 따라 물고기형, 은혈형, 둥근형, 보상화형, 박쥐형, ㄷ자형등이 있다.
       
위・아래 삭제 복제 복제전송
  • 행수 :
    열수 :
    타입 :
    • 선색
    • 실선
    • 점선
    • all
    • top
    • right
    • bottom
    • left
    • 0px
    • 1px
    • 2px
    • 3px
    • 4px
    • 5px
    • all
    • top
    • right
    • bottom
    • left
    • 0px
    • 5px
    • 10px
    • 15px
    • 20px
    • 25px
    • 30px
    • 35px
    • 40px
    • all
    • top
    • bottom
    • 0px
    • 5px
    • 10px
    • 15px
    • 20px
    • 25px
    • 30px
    • 35px
    • 40px
    • 4px
    • 8px
    • 10px
    • 12px
    • 16px
    • 20px
    • 30px
    • 1.3em
    • 1.5em
    • 2em
    • 2.2em
    • 2.5em
    • 3em

       
위・아래 삭제 복제 복제전송
수정 링크걸기 링크해제